정규 표현식 /regex?/i https://regexr.com/5ml92 RegExr: Learn, Build, & Test RegEx RegExr is an online tool to learn, build, & test Regular Expressions (RegEx / RegExp). regexr.com https://regexone.com RegexOne - Learn Regular Expressions - Lesson 1: An Introduction, and the ABCs Regular expressions are extremely useful in extracting information from text such as code, log files, spreadsheets, or even..
전체 글
Junior Developer's Blog ✨문제가 생기거나 저장이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하려면 디버깅을 해야한다. ================================================= 문제 회원가입시 이미 사용 중인 아이디로 가입을 시도했을 경우에는 member 폴더에 있는 deplcateID.html페이지로 이동을 지시 1. 클라이언트가 보내는 회원 정보를 꺼낸다 request,getParameter(); 2. 클라이언트가 보낸 데이터들을 하나의 정보로 합친다 클래스 생성한다 3. 사용중인 아이디 인지 아닌지 여부 를 boolean isUsed 로 해서 false 로 하면 사용중이지 않은 아이디로 먼저 설정을 한다. 4. 반복문을 통해서 저장된 아이디랑 비교해보기 - 향상된 for문 사용해야함 * 향상된 for문은 for(배열..
서블릿으로 공지사항 만드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html,css,js 등 이미 선생님이 만들어진 채로 서블릿 추가해서 연결하는 것을 해볼것이다. 1. 회원가입을 버튼을 누르면 회원가입 화면이 나온다. 1. 회원가입을 버튼을 누르면 회원가입 화면이 나온다. => 이부분은 굉장히 간단하다. 먼저 메인 html에 제이쿼리를 쓸거라서 제이쿼리를 다운 / cdn을 복사하면 된다. 회원가입 버튼 아이디를 join_btn 으로 지정해서 클릭하면 /member/join.html 이라는 사이트로 넘어가도록 설정을 했다. 2. 회원가입 하기 !!! 회원가입을 할때에는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을 작성을 해야하고 작성이 완료가 되면 제출 버튼을 누르면 DB에 쌓이게 된다 ( 아직 데이터베이스 공부 안함 ) 오늘 복습하면서 실..
HttpServletRequest : 요청 정보를 갖고 있는 객체 HttpServletResponse : 응답 정보를 담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될 객체 // 응답정보를 처리한다의 의미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결과를 전달한다는 것 // 1. 응답 정보에 데이터를 담아서 전달 // 2. 응답 정보에 html을 담아서 전달- 이거 사용 // 3. 응답정보에 상태코드를 담아서 전달 응답 정보 처리 자주 쓰는 메서드 PrintWriter getWriter() -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연결된 output stream을 가져오는 메서드 void setContentType(String type) - 응답 데이터(메세지 몸통)의 MIME TYPE void sendRedirect(String location) - ..
쿠키 자체를 저장 한다 세션은 식별하는 아이디만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한다 클라이언트가 요청할때 세션으 어떤 세션이다 서버가 판단해서 아이디에 맞는 상태값을 서버가 제공한다 * 세션 서버가 가지고 있지만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면서 아이디를 전달 요청정보를 세션을 꺼내서 쓰는 개념 쿠키는 서버가 생성하면서 name=value 형식으로 상태 정보 전달 세션은 세션을 생성한다 전달한다 이런 과정이 없다. 쿠키의 유지시간 -> 유지시간이 지나면 사라짐 / 5월 18일 오전 6시에 어떤 서버로 접속했는데 그 서버에서 쿠키 유지을 하루로 설정 이 클라이언트 쿠키는 5월 19일 6시가 되면 사라짐 세션의 유지시간 -> 유지 시간이 지나면 사라짐 / 5월 18일 오전 6시에 어떤 서버로 접속했는데 그 서버에서 세션 유지 시간..
톰캣 설치 이클립스 -> 프로젝트 생성 -> 실행 -> 서버 접근 웹 프로젝트에서 개발한 프로그램 실행 -> 웹 프로젝트에 프로그램 개발 -> 웹 프로젝트 서버에 추가 -> 서버 실행( 배포 한다 ) -> 브라우저의 URL에 프로그램의 경로를 입력해서 접근 이클립스의 workspace 톰캣의 workspace 서버의 경로를 잘 봐야함 이클립스 경로 들어가서 톰캣에 잘 들어가야지 실행하기전에 옮기고 하기거 번거롭다 옮기지 않아도 된다 서버에 추가 하면 알아서 옮겨진다 servers 에 add & remove 들어가서 나의 것을 추가한다 서버를 시작하면 알아서 추가가 된다. 서블릿, 자바 같은곳에 저장됨 자바가 위치하는 곳에 서블릿 소스도 들어감 @WebServlet => 서블릿에 접근하기 위한 경로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