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블릿 jsp할때 db에 오트인클리먼트하는거 값 가지고 오는거 더럽게 힘들었는데
스프링할때는 편하게 할수 있을듯
keyHolder 는 쿼리 두개 사용할때 가져온다
먼저 keyholder를 선언하고
insert먼저 해주고 거기 안에 preparedStatementCreator을 사용한다
이유는 한눈에 보이는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러고 안에서 오버라이딩을 해주고
서블릿에서 여러번 했던 문을 작성한다
사진에서 insert 쿼리 뒤에 columNames 를 작성한 이유는 원래 insert 하고 memberNumber을 가지고 올려고한다
바로 String[] 문자열 형식으로 쓰니깐 한눈에 안보여서 선생님께서 이렇게 작성해주심
작성하고 두번째 인자로 keyholder를 써야함
keyholder는 가져오는 값이 정수인지 실수인지 뭔지 모르니깐 모두 다 가져올수있는 number 인자를 사용함
memberDao 가 jdbcTemplate를 의존하는데 DataSource를 사진처럼 해야함
의존주입된 memberDao를 빈객체로 설정을 한다
-------------
스프링에서 트랜잭션할때는
@transactional -> 여러개 쿼리를 하나의 쿼리처럼 필요한 경우 애노테이션 붙이고
@EnableTransactionManagement 는 설정 클래스에 적용을 한다
설정 클래스에 애노테이션을 적용을 하고
그 애노테이션을 관리하는 빈을 설정한다 -> PlatformTransactionManager 객체 생성한다.
-------
로그 : 프로그램 동작하는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정보
예로 시작한 시간 , 종료한 시간, 사용한 사람 이름 등등등
로깅 : 로그를 남기는 행위
로그(로깅) 프레임 워크가 있다
-> slf4j
-> logback
두개의 라이브러리를 추가하고
이거를 동작하려면
src -> main -> resource -> logback.xml에 작성을 한다
'코딩 > 스프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mvc 시작하기 (0) | 2022.08.10 |
---|---|
스프링 복습 (재시작 mvn부터 / 프로젝트 만들기) (0) | 2022.08.04 |
7월 15일 스프링 MVC 과정 (0) | 2022.07.15 |
스프링 DB연동 / 트랜잭션/ 로그 로깅 (0) | 2022.07.14 |
스프링 DB 연동 7월 13일 (1) | 2022.07.13 |